split을 하면 split의 기준이 되는 글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이 앞 뒤로 배열 형태로 리턴된다.
형식
my @arr = split /test/ , $str;
split을 하면 split의 기준이 되는 글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이 앞 뒤로 배열 형태로 리턴된다.
형식
my @arr = split /test/ , $str;
로그를 관리할 때는 일단 데몬을 믿기보다는 시스템을 믿어라. 그런 차원에서 믿을 수 있는 logrotate.
로그를 관리 할 때 방법
1. 날짜를 시간계산한다. (epoch)
2. find -mtime 해서 파일의 생성일자를 확인 후 삭제한다.
3. logrotate를 사용한다.
- 나는 로그로테이트가 잘려져 있는 로그에 대해서는 사용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니라고 함.
즉 로그를 관리할 때는 로그 로테이트를 사용할 것을 추천받음. 바이 펄.
관련 링크
http://www.thegeekstuff.com/2010/07/logrotate-examples/
http://blueskai.tistory.com/101
http://pchero21.com/?p=1367
http://www.jamescoyle.net/cheat-sheets/676-logrotate-cheat-sheet
http://linux.die.net/man/8/logrotate
python에서 shell 커맨드 실행할 때 (0) | 2016.04.22 |
---|---|
http request 전송할 때 content-type 설정하기 (0) | 2016.04.11 |
logrotate에서 dateyesterday (0) | 2016.03.28 |
springboot actuator (0) | 2016.03.25 |
logrotate.d (0) | 2016.03.25 |
1. epoch로 초를 계산해서 30일을 초로 변환해서 뺀 다음에 그 값을 비교
2. str2+time 을 이용해서 스트링을 epoch로 바꿔서 계산. 스트링을 변환하는 작업을 대신해주는 셈.
3. localtime을 이용해서 epoch로 초단위 계산.
> 결국 초단위 계산을 통해서 스트링을 날짜 계산하게 된다.
utf-7 vs utf-8 (0) | 2016.04.03 |
---|---|
base64 vs base64url safe 차이 (2) | 2016.04.03 |
holder pattern in java (0) | 2016.03.15 |
[linux command ] which, whereis (0) | 2016.03.04 |
[linux command] mkdir -p -m (0) | 2016.03.04 |